Sakuna: Of Rice and Ruin

Sakuna: Of Rice and Ruin

55 ratings
농서 정리
By 다낙사
내가 보려고 만든, 뭔가 많고 귀찮고 필요없는 농서를 정리한 통합본
농서 하나를 아직 못얻었는데 얻으면 추가함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벼의 강도와 사쿠나의 능력치
벼의 강도가 올라갈수록 그 해 수확 후 각 강도에 해당하는 사쿠나의 능력치가 증가한다.
  • - 신기
  • - 생명
  • - 힘
  • 윤기(미) - 운기
  • 찰기(끈기) - 식력
  • 경도 - 체력
농서에 나오는 농업 용어
  • 천수 - 얕은 물
  • 심수 - 깊은 물
  • 수비 - 거름
  • 엽비 - 낙옆이 들어간 거름
  • 등숙 - 수확 가능 기간
  • 중간 낙수 - 3차 분얼에서 물을 빼고 약 하루정도 땅을 말림(벼의 약해짐 방지)
  • 기비 - 논을 갈기 전에 비료를 뿌림(벼의 질 증가)
기본 팁
  • 비료는 아침에 뿌리는게 효율적이다

  • 모내기~뿌리가 박힐 때까지는 천수
    그 이후에는 심수가 무난하다

  • 물을 다 빼면 벼가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춘다

  • 수온을 현재 기온에 맞추려면 천수로
    현재 수온을 유지하려면 심수 이상으로 맞춘다

  • 기비, 중간 낙수, 수확 전 물빼기는 잊지마라
양을 늘리는 법
  • 볍씨 선별은 가볍게
  • 육모는 촘촘히
  • 모내기는 밀집을 피하고 많이 심는다
    여름
  • 출수까지는 수비를 적당량
  • 한여름에 중간 낙수
  • 출수 후에는 엽비 많이, 심수
    가을
  • 등숙 후에는 가능한만큼 말림
  • 벼말리기는 적당히
맛, 찰기, 경도를 늘리는 법
  • 볍씨 선별은 엄격히
  • 육모는 성기게
  • 모내기는 적당히 성기게
    여름
  • 출수까지는 수비를 적당히
  • 출수 후에는 엽비를 가능한 한 줄이고 천수
    가을
  • 수확은 건조한 맑은 날
  • 정미는 시원한 날
윤기를 늘리는 법
  • 기비는 주지 않을 것
  • 볍씨 선별은 이수선, 육모는 성기게
  • 모내기는 적당히 성기게
    여름
  • 심수, 오리 풀기
  • 중간 낙수는 짧게
  • 출수~등숙까지는 물을 넘치게
    가을
  • 수확은 빠른시기에
  • 정미는 시원하게, 현미 / 백미로 도정
향을 늘리는 법
  • 볍씨 선별은 엄격히
  • 육모는 성기게
  • 모내기는 성기게
    여름
  • 중간 낙수 이외에는 천수
  • 가능한 한 너무 고온을 피한다
    가을
  • 수확은 빠른 시기에
  • 도정은 가능하면 현미로
해충
  • 팔랑나비 유충 - 양이 감소한다
  • 노린재 - 반점미(벼의 질 감소)가 될 확률이 높다
  • 멸구 - 양이 감소하고 병에 약해진다
  • 메뚜기 - 양이 감소한다
잡초 제거, 방충 비료, 거미/우렁이/개구리 논에 방생
  • 출수 불량 - 양분 부족이 원인
    거름을 더 주면 해결된다

  • 고온장해 - 물 온도가 높은게 원인
    물 양을 조절하거나 기도를 해서 물 온도를 낮춘다

  • 과잉생육 - 벼가 시기에 안맞게 너무 자란게 원인
    물을 빼서 성장을 억제한다

  • 도장 - 일조량 부족 등이 원인
    장성의 묘약을 넣은 비료나 맑음을 기도

  • 도복 - 그냥 벼가 약한게 원인
    장성의 묘약을 넣은 비료 투입

  • 염해 - 염분 과잉이 원인
    전지의 묘약을 넣은 비료 투입

  • 벼열병 - 곰팡이가 원인, 질이 크게 감소한다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 방제 비료 투입

  • 줄무늬잎마름병 - 벌레나 잡초가 원인, 도장이나 출수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음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나 방제 비료 투입, 잡초 제거

  • 그을음병 - 벌레가 원인, 성장이 억제된다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 방제 비료 투입

  • 집단고사 - 벌레가 원인, 벼가 마르고 질이 감소한다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 방제 비료 투입

  • 반점미 - 벌레가 원인, 질이 감소한다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 방제 비료 투입

  • 키다리병 - 곰팡이가 원인, 모내기 후 벼가 마른다
    수일의 묘약을 넣은 비료, 방제 비료 투입

  • 백태 - 미성숙이 원인

  • 동할미 - 벼가 정미시에 깨진게 원인
잡초
  • 녹조 - 벼의 도복(넘어짐)을 일으켜 양과 질이 감소한다
  • 강피 - 논이 좋을수록 잘 자라며 각종 병해를 일으킴
  • 물달개비 - 작고 많이 자라며, 흙의 양분을 크게 빼앗음
  • 물방개 - 벼의 도복을 일으킴
  • 너도방동사니 - 물이 많은 논에 잘 자라며 흙의 양분을 빼앗음
논을 공들여 갈거나 방초 비료를 사용한다, 일부 잡초는 물을 빼면 효과적이다
12 Comments
[KOR] Hong-Gil-Dong🔞 14 Jul, 2024 @ 1:02am 
감사드립니다.
mkang25 4 Dec, 2023 @ 8:39am 
감사합니다!
35P 31 Oct, 2023 @ 4:23am 
감사합니다
RabbitnGrass 29 Sep, 2021 @ 8:19am 
감사합니다
[묘아]MyoA 8 Mar, 2021 @ 8:59am 
감사합니다
lemontea 7 Dec, 2020 @ 4:46am 
감사합니다
Apple_Cinnamon 28 Nov, 2020 @ 4:02am 
감사합니다.
Gurney Halleck 21 Nov, 2020 @ 3:00pm 
감사합니다
gaileoin 20 Nov, 2020 @ 5:48am 
감사합니다
nomcoaw 19 Nov, 2020 @ 4:55pm 
감사합니다